[전력공학][송배전][16] 조상설비, FACTS 설비, 역률개선의 필요성
조상설비 - 조상설비 : 송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전압조정 역률개선 - 조상설비 분류 회전기 : 동기조상기, 비동기 조상기 정지기 : 전력용 콘댄서, 분로리액터,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 SVC - 조상설비 종류 전력용 콘댄서(분로 콘댄서, 병렬 콘댄서) : 진상전류 → 전압강하 보상 분로 리액터(병렬 리액터) : 지상전류 → 이상전압상승 억제 (페란티 현상 억제) ▶ 계단적, 단락고장 시 고장전류 X, 배전계통에 사용 동기조상기 : 진·지상 양용, 연속적보상, 시송전가능, 송전계통에 사용 ※ 시송전 : 송전선을 저전압으로 충전한 후 서서히 높여 정격값으로 상승시키는 방법 - 유연 교류 송전 시스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
2023. 9. 22.
[전력공학][송배전][15] 전력원선도
전력원선도 - 전력원선도 발전기 - 부하 일대일 대응 상황에서 사용 송전단과 수전단 전압은 Vs, Vr 정전압으로 일정 (이상적 상황에서 적용 가능) ▶ 원의 반지름 ρ : 일정, 송·수전 전력 원주상에 존재 - 전력원선도로 구할 수 없는 것 과도안정극한전력 코로나 손실 cf) 송전단 역률 : 원선도 만으로 구할 수 없으나, 계산을 통해 구할 수 있다 - 전력원선도로 구할 수 있는 것 송·수전단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역률 (P,Q,S,cosθ) 전력손실, 송전효율 송·수전단 최대전력 정태안정극한전력 상차각 δ 조상설비용량
2023. 9. 12.
[전력공학][송배전][15] 송전선로 모델링, 선로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전압 변동률, 선로손실, 선로손실률, 집중부하 vs 분산부하, 분산부하율, 부하 중심점
송전선로 모델링 - 송전선로 모델링 거리 선로정수 회로 단거리 수 km R,L 집중정수회로 중거리 수십 km R,L,C 집중정수회로(T형, π형) 장거리 수백 km R,L,C,G 분포정수회로 - T형 회로, π형 회로 - 특성임피던스 Zo - 선로전압강하 e 모델링 - 전압 강하율 ε - 전압 변동률 δ - 선로 손실 - 전력 손실률 k - 집중부하 vs 분산부하 전압 강하 전력 손실 말단 집중 부하 e P 균일 분포 부하 1/2e 1/3P - 분산 부하율 - 부하 중심점
2023. 9. 11.
[전력공학][송배전][12] 송전선로의 정전용량 C, 1선당 작용정전용량, 3상 무부하충전전류, 선로충전용량, 전력용콘댄서 충전용량, 콘댄서 회로의 부속설비
송전선로의 정전용량 C, 1선당 작용정전용량, 3상 무부하충전전류, 선로충전용량, 전력용 콘덴서 충전용량, 콘덴서 회로의 부속설비 - 1선당 작용정전용량 Cw [µF/km] - 단상 2선식에서 1선당 작용정전용량 - 3상 3선식에서 1선당 작용정전용량 - 3상 무부하 충전전류 Ic와 선로충전용량 Qc - 전력용 콘댄서의 충전용량 - 콘댄서 회로 부속설비 직렬리액터 : 제 5 고조파 제거 (3상 전원) 방전 코일 : 콘댄서의 잔류전하 방전 전력용 콘댄서 : 역률 개선
2023. 6. 18.
[전력공학][송배전][10] 애자, 애자의 구비조건, 애자의 분류, 현수애자 규격, 애자련의 전압분포, 애자의 특성이 나빠지는 이유, 현수애자 섬락전압, 애자의 색깔, 초호환, 애자련의 컨덕턴스
애자, 애자의 구비조건, 애자의 분류, 현수애자 규격, 애자련의 전압분포, 애자의 특성이 나빠지는 이유, 현수애자 섬락전압, 애자의 색깔, 초호환, 애자련의 컨덕턴스 - 애자의 목적 전선의 기계적 고정 전선과 지지물 사이의 전기적 절연 - 애자의 구비조건 절연내력이 클 것 절연저항이 클 것 누설 전류가 적을 것 정전용량이 적을 것 코로나 발생이 적을 것 눈·비에 대한 표면 저항을 보유할 것 기계적 강도 (내구성) 이 클 것 온도 변화에 대한 내성이 클 것 습기 흡수가 적을 것 가격이 경제적일 것 - 애자의 분류 1) 재질에 따른 분류 자기 애자 유리 애자 합성수지 애자 2) 형상에 따른 분류 핀애자 : 33kV 이하, 갓 모양의 자기편을 2~3층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해 연결 현수애자 : 66kV 이상, 송..
2023. 6. 15.
[전력공학][송배전][9] 지지물, 철탑의 종류, 지선
지지물, 철탑의 종류, 지선 - 지지물의 종류 목주 : 최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배전선로 콘크리트주 (CP주) : 배전선로 철주 : 배전선로 철탑 : 66kV ↑, 100㎟ 2회선, 송전선로 - 철탑의 분류 1) 성질상 사각형 : 안정성 ↑, 설계 용이 방형 2) 형태상 4각 : 2회선 방형 : 1회선 우두형 : 초고압 1회선, 산악지대 문형(갠트리) : 전차선로, 송전선 인출구 회전형 : 상부와 하부가 90º의 각을 이룸 MC형 : 콘크리트를 채운 강관, 재료 절약, 경량 3) 목적상 직선형(A) : 3º 이하 각도형(B) : 3º~20º 각도형(C) : 20º~30º 인류형, 억류지지형(D) : 전선을 당겨 고정, 30º 초과 내장 보강형(E) : 경간이 달라 불평형 장력이 발생하는 장소, 직선..
2023. 6. 12.
[전력공학][송배전][6] 전선로, 가공전선로, 지중전선로, 전력케이블
전선로 - 전선로 : 전선 + 지지물 + 애자 가공전선로 : 나전선 - 송전, 배전 지중전선로 : 케이블 - 송전 - 가공전선로의 배열에 따른 분류 수평 : 초고압 1회선용 철탑 수직 : 2회선·4회선 철탑(우리나라), 765kV 2회선 3각 : 저전압 송전선로, 1회선용 목주·콘크리트주·철탑·철주, 높이 제한 지역 ※ 오프셋 : 수직배열 가공전선로의 상,중,하 전선의 수평 간격을 두는 것 / 빙설에 인한 처짐·탈락 시 반동으로 도약에 의한 선간 단락 방지 목적 - 지중선로 : 지하 전력 케이블 - 지중선로의 장점 도시 미관 수용밀도 높은 지역에 적합 뇌·풍수해 감소 보안 유지 용이 유도장해 경감 (이격거리 감소 + 차폐 케이블 이용 → 선로인덕턴스 ↓, 선로충전용량 ↑ ) 다회선 설치 용이 - 지중선로..
2023.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