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조상설비
- 조상설비 : 송전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 전압조정
- 역률개선
- 조상설비 분류
- 회전기 : 동기조상기, 비동기 조상기
- 정지기 : 전력용 콘댄서, 분로리액터,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 SVC
- 조상설비 종류
- 전력용 콘댄서(분로 콘댄서, 병렬 콘댄서) : 진상전류 → 전압강하 보상
- 분로 리액터(병렬 리액터) : 지상전류 → 이상전압상승 억제 (페란티 현상 억제)
▶ 계단적, 단락고장 시 고장전류 X, 배전계통에 사용
- 동기조상기 : 진·지상 양용, 연속적보상, 시송전가능, 송전계통에 사용
※ 시송전 : 송전선을 저전압으로 충전한 후 서서히 높여 정격값으로 상승시키는 방법
- 유연 교류 송전 시스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 SVC, STATCOM, TCSC, UPFC 등 전력 조류 흐름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설비
- 무효전력 연속 정밀제어 가능
- 양방향 제어 가능
- 계통 제어범위 증가시켜줌
- 계통의 이용률 ↑
- 사고 파급 방지 효과
- 선로 교유 송전용량까지 제어 가능하게 해줌
-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SVC(Static VAR Compensator) : 리액터(L)·커패시터(C) + 사이리스터 → 반도체 스위칭 연속제어
- 전력계통 전압제어 (무효전력 Q → 전압 V) : 전압변동률↓, 안정도↑
- 부하 측 역률 개선, 플리커 제거 가능
- 정지형 동기조상기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 리액터(L)·커패시터(C) + 자려식 인버터(GTO)
- 연속적 제어 가능
- 과도 안정도 확보
- 기계적 동작 X
- 신뢰도·응답특성 ↑
- Vout > Vn : C 역할
- Vout < Vn : L 역할
※ SVC (과거) → STATCOM (현재)
- 역률개선의 필요성
- 전력손실 감소 ( 리액턴스 X ↓)
- 전압강하 감소 ( 리액턴스 X ↓)
- 계통 안정화
- 수전설비(변압기) 용량 감소 S = P/cosθ
- 설비의 여유 용량 증가
- 전기요금 감소
반응형
'전기 이론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공학][송배전][15] 전력원선도 (0) | 2023.09.12 |
---|---|
[전력공학][송배전][15] 송전선로 모델링, 선로전압강하, 전압강하율, 전압 변동률, 선로손실, 선로손실률, 집중부하 vs 분산부하, 분산부하율, 부하 중심점 (0) | 2023.09.11 |
[전력공학][송배전][14] 코로나 (0) | 2023.07.22 |
[전력공학][송배전][13] 연가, 복도체, 페란티효과 (0) | 2023.07.19 |
[전력공학][송배전][12] 송전선로의 정전용량 C, 1선당 작용정전용량, 3상 무부하충전전류, 선로충전용량, 전력용콘댄서 충전용량, 콘댄서 회로의 부속설비 (0) | 202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