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용어정리/에너지 정책3

[용어정리][에너지 정책] 에너지안보 에너지안보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 : 한 국가의 사회,경제,군사 에너지 수요를 감당할 만큼 충분한 공급량을 확보하는 것 현재 모든 경제활동은 전기 에너지를 중심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가 상시 공급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대외적으로는 에너지망·에너지원 다변화를 통해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외부 변수에 대처하며 대내적으로는 전력망을 비롯한 에너지 체계 전체가 상시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대외적 에너지 안보 변수는 국가 외교와 관계가 많다. 많은 에너지 자원이 국제정세나 대외관계에 따라 크게 좌지우지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대내적 에너지 안보는 전력 계통의 안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여기에는 국가 단위의 에너지 수급계.. 2023. 9. 29.
[용어정리][에너지정책] 그린 택소노미 그린 택소노미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 : 지속가능한 경제활동 분야를 정하는 분류체계 어떤 경제활동이 친환경적인지를 정하는 기준 그린 택소노미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구분하기 위한 일종의 금융 나침반이다. 어떤 경제활동이 친환경적이고 어떤 경제활동이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며, 지속가능한 산업,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도입됐다. 정책입안자, 투자자, 금융기관 등은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되어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으로 인정받은 분야에 대출을 장려하거나 관련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등 자신의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나서게 된다. 지난 2022년 2월 유럽연합(EU)은 택소노미 최종안을 발표하며 6가지 목표(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수자원.. 2023. 9. 10.
[용어정리][에너지 정책] 에너지믹스 에너지믹스 에너지믹스(Energy Mix) :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 각 에너지원별 비중 자체를 뜻하기도 함 현대 모든 국가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바탕으로 에너지믹스를 실현중이다. 갈수록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석탄, 석유 같은 화석연료로부터 태양광,풍력 같은 재생에너지까지의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해야한다. 특정 에너지원에만 모든 공급을 의존한다면, 에너지안보 및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국가별 에너지믹스는 천차만별으로 자연환경, 경제성, 부존자원, 국제정세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해 각국의 산업구조 및 자원상황, 에너지 정책을 파악할 수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는 석탄 > 원자력 > 천연가스 > 재생에너지 > 석유 > 수력 > .. 2023.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