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이론/전력공학

[전력공학][송배전][2] 교류송전과 직류송전

by 전기쟁이1 2023. 4. 5.
728x90

교류송전과 직류송전

 

- 교류송전 (AC)

  • 승압, 강압 (변압)이 용이하다.
  • 회전자계 획득이 용이하다.
  • 교류로 일괄된 운용 가능하다.
  • 장거리 송전에 불리하다.  

 

- 직류송전 (DC)

  • 선로, 기기, 설비의 절연계급 낮출 수 있다.    (교류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 운용가능)
  • 송전효율이 높다.                      (주파수 X, 무효분 존재 X, 리액턴스 손실 X, 역률 1)
  • 단락용량과 차단용량이 적다.   (단락전류는 대부분 무효분으로 구성)
  • 비동기 연계 가능하다. = 주파수 다른 계통 간 연계가 가능하다. (BTB, Back to Back 시스템)
  • 표피효과가 없다.                    (주파수 = 0)
  • 유전체손실이 없다.                 (주파수 = 0)
  • AC-DC 변환 시 고조파 차단이 어렵다. → 고조파 필터가 필요하다.
  • 송전선로 충전이 필요 없다.
  • 전식 피해 우려 존재한다.
  • 직류 차단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 선택 차단 곤란과 보호 방식이 복잡하다.

 

※ 고조파 저감용 필터

- 고조파 전압, 전류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 관련 주파수에 대해 낮은 임피던스 값 갖는 L-C 직렬 회로로 구성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