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송전과 배전
- 송전
- 대전력을 고전압으로 장거리 수송하는 전력 수송 방식을 말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3상 3선식 직접접지방식 채택한다.
- AC : 765kV, 345kV, 154kV, 70kV
- DC : 500kV, 250kV, 180kV, 150kV
- 배전
- 소전력을 저전압으로 단거리 수송하는 전력 수송 방식을 말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3상 4선식 다중접지방식을 채택한다.
- 넓게 분산된 수용가에 전력 배분 가능하다.
- 22.9kV, 380V, 220V
← 송전 (3상 3선식) 배전 (3상 4선식) → | ||||||||||
발전소 | → | 승압용 변압기 | → | 변전소#1 | → | 변전소#2 | → | 주상 변압기 | → | 수용가 |
6~24kV | 345kV | 345 / 154kV | 154 / 22.9kV | 22.9 / 380V 220V |
380V 220V |
- 승압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 전선 주위의 전위 경도(전위 기울기, 전선과 매질 사이 전위 차이)가 크다. → 코로나 발생 가능성이 높다.
- 설비의 절연 레벨 상승 시켜야 한다. → 설비비용이 많아진다.
- 지지물 강도를 높이고 지지물 높이를 크게 해야 한다. → 건설비가 많아지고 뇌·태풍 등 기상 영향이 커진다.
- 송전설비의 전압별(AC) 역할
- 765kV : 대단위 전원 단지와 대용량 부하 밀집 지역 간의 전력을 수송한다.
- 345kV : 지역간 간선 계통망을 구축하고 도심지에 전력을 공급한다.
- 154kV : 345kV 전력공급 구역 내의 계통을 구성하고 배전계통에 전력을 공급한다.
- 70kV : 소규모 부하와 소규모 전원(신재생전원)을 연계하고 저수요 지역의 전력 공급을 담당한다.
반응형
'전기 이론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공학][송배전][6] 전선로, 가공전선로, 지중전선로, 전력케이블 (0) | 2023.06.04 |
---|---|
[전력공학][송배전][5] 전선의 굵기 선정 시 고려사항,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 선정 (캘빈의 법칙) (0) | 2023.04.09 |
[전력공학][송배전][4] 표준전압과 경제적인 송전전압 (Still의 식) (0) | 2023.04.06 |
[전력공학][송배전][3] 직류송전과 HVDC (0) | 2023.04.05 |
[전력공학][송배전][2] 교류송전과 직류송전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