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정리/수소에너지

[용어정리][수소에너지] 수소에너지

by 전기쟁이1 2023. 7. 19.
728x90

수소에너지

  • 수소에너지 (Hydrogen Energy) :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생산되는 에너지
  • 수소는 장기간 보관과 대량운송이 수월해 ‘에너지 운송체’로서의 기능도 수행

수소는 우주에 존재하는 총 원자 수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한 원소다.

 

다양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고, 고갈 염려도 없으며, 무엇보다 탄소배출이 없는 수소 에너지는 탄소중립 사회를 이끌 중요한 열쇠 중 하나다.

 

또한 발열량이 석유보다 높은 고효율 에너지원이기도 하다.

 

다만 수소는 주로 물, 천연가스 등 화합물 형태로 결합돼 있기에 이를 따로 추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에 어떤 에너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브라운(석탄 에너지), 그레이(천연가스), 그린(재생에너지), 핑크(원자력에너지)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블루수소 그레이수소와 비슷한 공정을 거치지만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이하 CCS)을 활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인 수소

 

수소는 연료전지를 통해 전기를 만들거나 자동차의 동력원이 되기도 하지만, 정말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보관과 운송이 간편해 ‘에너지 운송체’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의 약점인 간헐성(날씨 등 외부요인에 따라 좌우되는 특성)을 보완할 수 있기에 수소는 탄소중립 사회를 이끌 핵심 열쇠로 평가받는다. 

 

수소경제시대를 이끌기 위한 전 세계 주요국의 경쟁이 치열하다.

2020년 ‘EU 수소전략’을 발표한 EU, 2030년까지 수소 1,700만 톤 자급자족에 나선 미국, 수소굴기를 추진 중인 중국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9년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바탕으로 수소차와 연료전지 중심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이 진행 중이다.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2019.1.17.)

 

출처 : 에너지정책소통센터 https://e-policy.or.kr/education/n_list_edu.php?admin_mode=read&no=5566&make=&search=&prd_cate=10 

 

에너지직무연수 - 에너지정책소통센터

에너지 역사와 미래 에너지의 동영상 제공, 에너지로 바꾸는 세상 책을 무료 다운로드

e-policy.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