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정리/전력

[용어정리][전력] 에너지 원단위

by 전기쟁이1 2023. 7. 24.
728x90

에너지 원단위

  • 에너지 원단위 (Energy Intensity) : 국내총생산(GDP) 100만 원(혹은 1천 달러)을 생산하는 데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
  • 1차 에너지 공급량 TOE(석유환산톤)을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값

에너지원단위는 에너지 소비 효율을 잘 드러내 주는 지표이다.

에너지 원단위가 낮을수록 해당 국가의 효율이 높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원단위는 주요 선진국 대비 높은 편에 속하는데, 석유화학, 철강 등 에너지 소비가 많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주요 원인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요금 역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에너지 원단위는 2018년 기준 OECD 36개국 중 30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가별 에너지 원단위

 

에너지 원단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움직임이 필요하다.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부가가치(GDP)를 높이는 것이다.

특히 산업체를 중심으로 전반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여 소비량을 줄이거나, 에너지 저소비형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원단위 목표관리제’를 시행해 연평균 2% 이상 에너지원단위 낮추기에 성공한 독일(2013년), 일본(2016년)이 대표적 성공사례로 꼽힌다. 

 

우리나라 정부는 2021년 12월 발표한 ‘탄소중립 견인을 위한 에너지효율 혁신 및 소비행태 개선방안’을 통해 2030년까지 최종에너지원단위(TOE/백만원)를 2018년 대비 30% 이상 개선할 의지를 밝혔다.

 

국내에도 ‘에너지효율(원단위) 목표관리제’를 도입하고, 철강·석유화학 등 에너지다소비형 산업에 고효율 혁신기술을 적극 반영시킨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더불어 에너지 효율 관련 국민인식을 향상하고, 고효율‧저탄소 기기 보급을 늘리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출처 : 에너지정책소통센터 https://e-policy.or.kr/education/n_list_edu.php?admin_mode=read&no=5582&make=&search=&prd_cate=10 

 

에너지직무연수 - 에너지정책소통센터

에너지 역사와 미래 에너지의 동영상 제공, 에너지로 바꾸는 세상 책을 무료 다운로드

e-policy.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