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 스크랩/전기신문

[신문 스크랩][전기신문] 풍력발전 최대 약점인 계통 안정화 문제 해소될까?

by 전기쟁이1 2023. 6. 10.
728x90

풍력발전 최대 약점인 계통 안정화 문제 해소될까?.  2023.06.09.

해상풍력 합성관성의 계통 연계 기준 포함 검토 위한 과제 준비 중
재생에너지의 주파수 조정 기능 일부 확보해 막대한 계통 투자 완화
보조서비스 시장 등 보상이 관건…풍력 사업자의 참가 유인 높여야

 

 - 재생에너지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는 계통 안정화를 두고 풍력발전의 합성관성이 대안으로 부상 중

 - 6월 8일 한전 전력연구원, 해상풍력의 합성관성을 한전의 계통 연계 기준에 포함시키는 것 검토 위한 연구과제 준비 중

 - 풍력발전의 합성관성은 최신 인버터에서 구비하고 있는 그리드 포밍 기술을 활용, 계통의 주파수 조정이 필요할 때 풍력터빈의 운동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조정해 얻을 수 있다.

 

 - 현재 정부 과제를 통해 합성관성 국산화 기술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최근 해외에서도 이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며, 캐나다 전력회사인 하이드로퀘벡이 이 기술을 실제 계통에 적용해 활용 중

 - 한전 전력연구원, 이번 과제를 통해 국내 계통 여건에 맞춘 합성관성의 활용에 대해 고심한다는 방침

 

 - 내년 상반기 중 도입을 목표로 8월쯤에는 과제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국내에서 해상풍력의 합성관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재생에너지가 가진 가장 큰 약점인 계통 안정화 기여에 대한 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특히 한전이 부담해야 할 막대한 계통 투자를 일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한전, 계통확보 및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동기조상기, 유연송전시스템(FACTS) 등 막대한 규모의 설비 투자를 계획 중이었음

 

 - 한전이 지난달 발표한 ‘제10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에서 밝힌 투자 규모만 2036년까지 56조 5000억 원에 달했다.

 - 해상풍력의 합성관성을 활용할 경우, 해당 투자를 일부 회피할 수 있는 만큼 이 비용과 합성관성에 대한 보상 가운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을 선택해야 한다고 전력 전문가들은 조언

 - 다만 합성관성에 대한 계통기여도 보상 문제는 넘어야 할 과제

 

 - 아직 논의 수준인 보조서비스 시장 개설과 함께 보조서비스 시장 내에서 합성관성의 기여도를 인정하는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는 것.

 - 합성관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풍력터빈의 출력을 일부 조절해야 한다.

 

 - 이때 출력이 줄면 생산 전력이 함께 줄어드는 만큼 적정한 보상 없이 사업자들의 참여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

 - 이병준 고려대학교 교수 :  “아직은 기술개발 단계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합성관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한전의 계통 투자를 회피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가 계통에서 갖는 약점도 해소할 수 있는 게 사실”, “그러나 이를 어떻게 보상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도 함께 논의해야만 사업자들의 참여를 유인할 수 있을 것”

 - 전영환 홍익대학교 교수 : “보조서비스 시장 등을 통해 사업할 수 있는 판을 깔아준다면 사업자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계통에 합성관성을 제공하지 않겠나”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1200 

 

풍력발전 최대 약점인 계통 안정화 문제 해소될까? - 전기신문

재생에너지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는 계통 안정화를 두고 풍력발전의 합성관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8일 한전 전력연구원은 해상풍력의 합성관성을 한전의 계통 연계 기준에 포함시키는

www.electimes.com

반응형